늘 있던 것이 계속 있던 자리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시간이라는 것이 흘러간다고 살면서 인지하지를 못했습니다.

사소한 선택에서 중요한 결정을 해야하는 순간까지

단순한 실수가 하나 또는 저절로 일어난 문제가 하나 더 쌓였다고만 생각했습니다.

 

때때로 명민하게 판단하고, 본질에 다가서곤 했다고 느꼈습니다.

 

어느 날

평소와는 다른, 아니 너무 먼 기억처럼 느껴지는 것이 되어 버렸습니다.

혼자만의 의지로 예전처럼이라고 기억하는대로 움직여 보려 합니다.

하지만 시간은 그걸 허락하지 않습니다.

 

흥얼거립니다.

말을 흥얼거립니다.

마치 이것은 노래와 같습니다.

 

감춰진 진실은 '나의 시간이 흘러갑니다'라는 것입니다.

 

아!

알고 있습니다.

이제는 다시 볼 수 없다는 것을

 

자꾸 떠오릅니다.

하얗게 웃으며 노랠하던 날이

말이 노래가 되어 상대를 불러보았던 기억이 

피부를 밝히듯 어깨 위로 떨어지는 따가운 햇살이

[검찰, 왜 바뀌어야 하나](2) 무소불위 권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212022240505

 

[검찰, 왜 바뀌어야 하나](3) 인사의 문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2030000005&code=940301

 

도표로 정리한 검찰 권한, 문무일 총장 말은 타당한가
http://news.kbs.co.kr/amp/view.do?ncd=4201954

 

 

 

 전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이런 무소불위의 권력에 견제 장치가 없을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계속 보아 왔다.

 

 검사와의 대화는 이제 그만하도록 합시다.

 

 

 그리고, 표창장의 진위를 위해서 검찰이라는 조직이 배수의 진을 치고 조직 명운을 걸 필요도 없다.

 

 오늘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되면, 윤석열 검찰총장 이하 검찰개혁해서 깨끗하고 떳떳한 검찰이 되면 된다.

 

 

 

작업실 옆에 검은 고양이가 산다.

젊은이들이 지나가면서 귀엽다고 쓰다듬는다.

낯을 가리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

 

저녁 해가 질 무렵이면 길가에 나와서 바닥에 늘어져 있다가 

사람들이 쓰다듬어주면 벌렁 누워 배를 보여준다.

 

츄르도 주고, 캔도 따준다.

구석진 곳에 정기적으로 고양이 밥과 물을 주는 누나도 있다.

 

츄르라도 하나 들고 '애옹~!' 소릴 내면 귀신같이 어디선가 나타난다.

자기가 먹을 거라는 거 알고 살포시 귀염을 떤다. (귀여움은 패시브 스킬)

 

오늘도 쓰담쓰담, 등을 톡톡 두드려 줘 본다.

 

말도 걸어본다.

 

'재밌게 잘 놀았써?'

 

갸르릉, 갸르릉, 떼껄룩

+ Recent posts